보성군 (왕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성군 이합은 조선 태종의 손자이자 효령대군의 셋째 아들로, 1416년에 태어나 1499년에 사망한 왕족이다. 1441년 보성군에 봉해졌으며, 세조 때 무관으로 활동하며 공을 세웠다. 예종 즉위 초 남이와의 친분으로 위기를 겪었으나, 이후 정1품 현록대부까지 올랐다. 슬하에 7남 6녀를 두었으며, 그중 딸이 갑자사화의 주역 임사홍에게 출가하여 가문의 명예가 실추되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9년 사망 - 존 캐벗
존 캐벗은 이탈리아 출신 탐험가로, 헨리 7세의 후원을 받아 북미 대륙을 탐험하여 뉴펀들랜드에 상륙, 영국령을 선포했으며, 1498년 탐험 중 실종되었다. - 1499년 사망 - 마르실리오 피치노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1433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나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플라톤 아카데미를 이끌며 플라톤 철학을 연구하고, 플라톤 전집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서양에 플라톤 철학을 알리는 데 기여한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이다. - 1416년 출생 - 윤자운
윤자운은 조선 초 문신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은 윤회의 손자이자 신숙주의 처남이며, 여러 관직을 거쳐 수양대군 즉위 후 좌익공신에 책록,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성격이 편협하고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416년 출생 - 크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토페르 3세는 1440년부터 덴마크, 1441년부터 스웨덴, 1442년부터 노르웨이의 국왕을 겸하며 칼마르 동맹을 통치했으나 귀족 세력과의 권력 균형 속에서 제한적인 권력을 행사했고 후사 없이 사망하여 칼마르 동맹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 조선 세종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조선 세종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이자 훈민정음 창제 후 초기 한글 활자본으로, 석가모니의 공덕과 교화를 담고 있으며 국보 제320호로 지정된 조선 전기 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보성군 (왕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이합(李㝓) |
작위 | 군 |
출생일 | 1416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499년 9월 1일(음력) |
사망 원인 | 노환 (병사)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매장지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
거주지 | 조선 |
국적 | 조선 |
배우자 | 합천 이씨 |
부모 | 효령대군, 예성부부인 정씨 |
왕가 관계 | |
증조할아버지 | 태조 이단 |
할아버지 | 태종 이방원 |
고모 |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정선공주 |
큰아버지 | 양녕대군 |
작은아버지 | 세종 성녕대군 |
사촌누나 | 정소공주 |
사촌형 | 문종 |
사촌누나 | 정의공주 |
사촌동생 |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응대군 |
5촌 조카 | 경혜공주 단종 덕종 귀성군 예종 |
군 경력 | |
최종 계급 | 좌상대장 |
복무 | 조선 육군 |
복무 기간 | ? ~ 1468년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효령대군 묘소 청권사 |
2. 생애
보성군 이합은 1416년(태종 16년) 효령대군 이보와 해주 정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441년(세종 23년) 보성군으로 봉해졌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1489년(성종 20년) 정1품 흥록대부에 올랐다.
1457년(세조 3년) 단종이 사망하자 대전관을 맡았고, 보성경으로 승작되었다. 세조 때에는 무관으로 활동하며 도진무, 해청위, 선전관, 좌상대장 등으로 공헌하였다. 1467년 다시 보성군에 책봉되었고 1468년 좌상대장이 되었다.[1] 그러나 예종 즉위 초 남이와의 친분 관계로 인해 위기를 겪었다. 1468년 남이가 처형될 때, 그와 교분이 두터웠다는 이유로 아들 춘양군과 함께 군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 이때의 고초는 보성군에게 평생의 후유증으로 남았다.[1]
1469년 예종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보성군은 유배에서 풀려나 복직되었다. 1489년(성종 20년)에는 양로연에 참여한 후 흥록보성군에 올랐다.[1] 1499년(연산군 6년) 정1품 현록대부를 받고 같은 해 9월 1일 84세로 사망했다. 임종 시 시호와 예장을 받지 않겠다는 유언을 남겼다.[1]
1503년(연산군 10년), 왕은 이미 사망한 보성군을 기려 그의 손자 강양정 견손에게 당상관을 제수하였다. 보성군은 딸을 간신 임사홍에게 시집보냈는데, 임사홍이 유자광과 함께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1506년 중종반정으로 처형당하면서 가문의 명예가 실추되었다.[2]
2. 1. 생애 초반
1416년(태종 16년) 효령대군 이보(李補)와 증 좌의정 정역(鄭易)의 딸 예성부부인 해주정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합(㝓)이다. 부인은 청풍군부인(淸風郡夫人) 인천 이씨(仁川李氏)로 광록시(光祿寺) 소경(少卿)을 지낸 이무창(李茂昌)의 딸이다.1441년(세종23) 보성군으로 봉해졌고 종2품 가정대부(嘉靖大夫), 1443년(세종25) 정2품 숭덕대부(崇德大夫), 1444년(세종26) 정2품 숭헌대부(崇憲大夫), 1489년 (성종 20) 정1품 흥록대부(興綠大夫)로 승진하였다.
2. 2. 관료 생활
1457년(세조 3) 단종이 죽자 대전관(代奠官)을 맡았고, 보성경(寶城卿)으로 승작되었으며 1466년 해청위(海靑衛)가 되었다.[1]세조 때에는 무관으로 활동하여 도진무(都鎭撫), 해청위(海靑衛), 선전관(宣傳官), 좌상대장(左廂大將) 등으로 공헌하였다.[1] 1467년 다시 보성군에 책봉되었으며 1468년 좌상대장이 되었다.[1] 그러나 예종 즉위 초 남이와의 친분관계로 위기를 겪었다.[1]
1468년 남이를 국문하던 중 평소에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아들 춘양군(春陽君) 내(徠)와 함께 군호(君號)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1] 이때 겪었던 고초의 후유증이 보성군에게 평생을 갔다고 전해진다.[1] 남이는 태종과 원경왕후의 외증손(外曾孫)이자 넷째 딸인 정선공주(貞善公主)의 손자였다.[1]
유자광은 "백두산의 돌을 칼 갈아 없애고(白頭山石磨刀盡)/두만강의 물은 말 먹여 없애니(豆滿江水飮馬無)/남아 이십에 나라를 평안케 못하면(男兒二十未平國)/후세에 누가 대장부라 부르리오(後世誰稱大丈夫)"라는 시에서 "男兒二十未平國"을 "男兒二十未得國"이라 고쳐 모함하여, 25세에 공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던 남이를 1468년(예종 1년) 11월 2일 26세의 나이에 거열형(車裂刑)으로 참살하였다.[1]
2. 3. 생애 후반
1469년 예종의 급서로 위기를 모면하고 풀려나 임명장을 돌려받고 과거의 관직으로 복직되었다. 1489년(성종 20)에는 고령으로 83명의 노인에게 베푼 양로연(養老宴)을 받은 후 특별히 벼슬을 받아 흥록보성군(興祿寶城君)에 올랐다.[1] 1499년(연산군 6년)에는 종친의 최고 품계인 정1품 현록대부(顯綠大夫)를 받고 같은 해 9월 1일 8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1]임종 시 '시호와 예장을 받지 않겠다'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1] 왕의 특명으로 묘비는 "조선국 왕손 현록대부 보성군 지묘"라고 새겨졌다.[1] 슬하에는 7남(신풍도정, 율원군, 춘양군, 평성군, 물거 군, 원산군, 동양정)과 6녀를 두었다.[1] 묘소는 처음 장례를 지낸 지금의 금천구 박달골 오좌에 안장되었다가 1941년 6월 11일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미좌로 옮겨졌다.[1] 영정을 모시는 재실은 묵수재(默守齋)이며, 보청재(寶淸齋)이다.[1]
1503년(연산군 10)에는 왕이 이미 세상을 떠난 군을 생각하여 손자 강양정(江陽正) 견손(堅孫)에게 보성군을 대신하여 당상관(堂上官)을 제수하였다.
딸을 간신 임사홍에게 출가시켜 탄식 속에 살았는데, 유자광과 한 무리로 날뛰는 것을 지켜보면서 끝내 눈을 감았다.[2] 결국 갑자사화를 일으켜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사위 임사홍이 추살(推殺)되고 이어 부관참시(剖棺斬屍)되는 결과를 가져와 가문의 명예가 실추되었다.[2]
3. 가족 관계
신풍도정
아들/딸
율원군
아들/딸
춘양군
아들/딸
춘양군
서자 | 견성부정 이린(甄城副守 李疄)
평성군
아들/딸
평성군
서자
물거군
아들
원산군
아들 | 장림수 이순민
동양정
아들/딸
사위
윤지곤
아들 | 부장(部將) 윤진손(尹震孫)
사위
김극동
아들/딸
사위
임사홍
아들/딸
사위
신만년
아들/딸
사위
이사종
아들/딸
사위
송기손
아들/딸
사위
류형원
아들/딸